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2/large/009.png)
연말정산할때 기부금 공제라는 것이 있는대요.
어떤 것이고 어떻게 해야 절세가 가능한지 알아볼께요 :)
연말정산에서 기부금 공제는 근로자가 일정 기관에 기부한 금액에 대해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부금의 종류, 공제 한도, 적용 요건 등을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기부금 공제란?
근로자가 종교단체, 사회복지단체, 정당, 학교 등 법에서 인정하는 기관에 기부한 경우, 기부금의 일정 금액을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 소득공제: 총급여에서 기부금을 제외한 후 세금을 계산
- 세액공제: 납부해야 할 세금에서 일정 비율을 직접 차감
2. 기부금 유형별 공제 방법
기부금은 법적으로 법정기부금, 지정기부금, 정치자금기부금, 우리사주조합기부금으로 구분됩니다. 각각 공제 방식과 한도가 다릅니다.
기부금 유형 | 공제방식 | 공제한도 | 공제율 |
법정기부금 (국가·지자체·학교·병원 등) | 소득공제 | 소득금액 100% | - |
정치자금기부금 | 세액공제 | 10만원 이하 전액, 초과분은 15~25% | 10만원 이하: 100% / 10만원 초과: 15~25% |
우리사주조합기부금 | 세액공제 | 근로소득금액의 30% 한도 | 25% |
지정기부금 (사회복지법인·종교단체 등) | 세액공제 | 소득금액의 30% (종교단체는 10%) | 1천만 원 이하: 15% / 초과분: 30% |
3. 기부금별 세부 설명
(1) 법정기부금 (소득공제)
- 국가나 지방자치단체, 국립학교, 공공병원 등에 기부한 금액
- 전액 소득공제 가능
- 예: 국립대학교, 공립병원 기부금
(2) 지정기부금 (세액공제)
- 사회복지법인, 종교단체, 국제구호단체 등에 기부한 금액
- 소득금액의 30% 한도 (종교단체는 10%)
- 공제율:
- 1천만 원 이하: 15%
- 1천만 원 초과: 30%
(3) 정치자금 기부금 (세액공제)
- 국회의원 후원금, 정당 후원금 등
- 공제율:
- 10만 원 이하: 전액 세액공제
- 10만 원 초과: 초과분의 15% (3천만 원 초과분은 25%)
(4) 우리사주조합기부금 (세액공제)
- 우리사주조합에 기부한 금액
- 근로소득금액의 30% 한도, 공제율 25%
4. 기부금 공제 한도 계산
공제 한도는 소득금액(연봉에서 근로소득공제, 기타 공제항목을 뺀 금액)을 기준으로 적용됩니다.
예시) 총급여 5천만 원인 경우
- 소득금액: 약 3,500만 원 (근로소득공제 후)
- 기부금 공제 한도:
- 법정기부금: 3,500만 원까지 공제 가능
- 지정기부금: 3,500만 원의 30% = 1,050만 원
- 종교단체 지정기부금: 3,500만 원의 10% = 350만 원
5. 기부금 세액공제 계산 예시
예제 1) 지정기부금 200만 원 기부한 경우
- 1천만 원 이하 구간 → 200만 원 × 15% = 30만 원 공제
- 최종적으로 30만 원 세금 감면
예제 2) 지정기부금 1,500만 원 기부한 경우
- 1천만 원 이하 부분: 1,000만 원 × 15% = 150만 원
- 초과분(500만 원): 500만 원 × 30% = 150만 원
- 총 세액공제: 150만 원 + 150만 원 = 300만 원 공제
6. 연말정산 기부금 공제 신청 방법
(1) 기부금 영수증 준비
- 기부한 단체에서 발급한 기부금 영수증이 필요
- 홈택스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 가능
(2)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이용
- 홈택스 접속 → 연말정산 간소화 → 기부금 내역 확인 후 제출
(3) 기부금 코드 입력 (회사 제출)
- 연말정산 신청 시 기부금 유형(법정/지정/정치자금 등)을 올바르게 선택
- 영수증과 함께 회사에 제출
7. 기부금 공제 시 유의사항
✅ 기부처 확인 필수
- 국세청에 등록되지 않은 단체는 공제 불가
✅ 기부금 공제 한도 초과 시 이월 가능
- 사용하지 못한 기부금은 10년까지 이월 공제 가능
✅ 종교단체 기부금은 한도가 다름
- 지정기부금 중 종교단체 기부금은 소득금액의 10%까지만 공제 가능
✅ 본인 및 부양가족 기부금만 공제 가능
- 배우자, 자녀(나이 무관), 부모님(나이 제한 없음) 등 기본공제 대상자가 기부한 금액도 합산 가능
8. 기부금 공제 활용 팁
🔹 공제율이 높은 기부금 먼저 활용
- 법정기부금 → 지정기부금 순으로 적용하면 더 많은 공제 가능
🔹 연말에 기부하면 바로 세액공제 가능
- 연말에 기부하면 당해 연도 연말정산에서 공제 적용 가능
🔹 이월공제 활용
- 올해 한도를 초과한 기부금은 10년간 이월 공제 가능, 내년 세금 절감에 활용
9. 결론
연말정산 기부금 공제는 세금 감면 효과가 크므로 기부금 영수증을 꼼꼼히 챙기고, 공제 한도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부를 많이 했다면 홈택스에서 기부금 내역을 꼭 확인하세요! 😊
2025.02.03 - [건강이야기] - 양극성장애(조울증)에 대해 알아볼께요.
양극성장애(조울증)에 대해 알아볼께요.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양극성장애(조울증)에 대해 어떤 증상이 있고, 치료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볼께요. 양극성 장애(조울증, Bipolar Disorder)는 극단적인 기분 변화(조증과 우울증)를 특징으
pman.tistory.com
2025.02.03 - [부동산과 경제이야기] - 청년대상 전세대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께요.
청년대상 전세대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께요.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청년을 대상으로 한 전세대출의 종류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볼게요. 청년들을 위한 전세자금대출 상품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상품마다 금리, 한도, 자격 요건
pman.tistory.com
2025.02.03 - [건강이야기] - 전립선암에 대해 알아보아요
전립선암에 대해 알아보아요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전립선암이 무엇이고 증상은 어떠한지 자세하게 알아볼께요. 중년이후의 남성분들은 꼭 확인해보세요. 전립선암은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암 중 하나로,
pman.tistory.com
'부동산과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례식장 예절 총정리 (0) | 2025.02.04 |
---|---|
대통령 꿈해몽 :) (0) | 2025.02.03 |
청년대상 전세대출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께요. (0) | 2025.02.03 |
하이브리드자동차의 방식 및 종류 (0) | 2025.02.03 |
페이스테크?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