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1. 복리란 무엇인가?
복리란,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원금뿐 아니라 이미 쌓인 이자에도 다시 이자가 붙어 자산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방식입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은 단리(Simple Interest)인데, 단리는 원금에만 매번 동일한 이자가 붙는 방식입니다.
✔ 복리 공식
복리를 계산하는 대표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A = P(1 + r/n)^(nt)
- A: 최종 금액 (미래가치)
- P: 초기 원금
- r: 연이율 (소수, 예: 5% = 0.05)
- n: 연간 이자 횟수 (예: 연 1회면 n=1, 월복리면 n=12)
- t: 기간 (년 단위)
2. 복리의 작동 원리
복리는 처음에는 효과가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특히 10년, 20년, 30년이 지나면서 놀라운 차이를 보여줍니다.
✅ 예시: 1천만 원을 연 5% 복리로 투자할 경우
기간 | 단리결과 | 복리결과 |
5년 | 1,250만 원 | 약 1,276만 원 |
10년 | 1,500만 원 | 약 1,629만 원 |
20년 | 2,000만 원 | 약 2,653만 원 |
30년 | 2,500만 원 | 약 4,322만 원 |
📌 단리와 복리의 차이는 처음엔 작지만, 시간이 길어질수록 복리의 효과가 훨씬 커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3. 복리의 놀라운 예시: 72의 법칙
복리 개념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계산법이 바로 72의 법칙입니다.
72 ÷ 이자율(%) = 자산이 두 배가 되는 기간(년)
예를 들어, 연 6%의 복리 수익률을 낸다면
- 72 ÷ 6 = 12년 → 내 자산이 약 12년 후 2배가 됩니다.
만약 12% 수익률이라면?
- 72 ÷ 12 = 6년 → 6년마다 2배로 불어나는 거죠.
이처럼 이율이 조금만 높아져도 성장 속도가 훨씬 빨라지는 것이 복리의 무서운 힘입니다.
4. 복리를 활용하는 방법
복리 효과를 제대로 누리기 위해선 단순히 ‘이율이 높은 상품’을 고르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시간과 재투자입니다.
✅ 복리 효과를 극대화하는 3가지 원칙
- 빨리 시작할 것
- 하루라도 빨리 투자나 저축을 시작하면 더 많은 시간 동안 복리가 작동합니다.
- 재투자할 것
- 중간에 이자를 인출하지 않고 다시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긴 시간 유지할 것
- 복리는 후반으로 갈수록 더 큰 효과를 발휘합니다. 조급하지 말고 길게 보세요.
5. 실생활에서 복리가 작용하는 예
✔ 국민연금과 연금저축
국민연금이나 연금저축은 수십 년간 소액을 납입하면서 이자가 계속 붙기 때문에 복리의 대표적인 실현 사례입니다.
- 30세부터 65세까지 매달 30만 원을 저축하면,
- 연 6% 수익 기준으로 약 3억 원 이상의 자산으로 불어날 수 있습니다.
✔ 배당 재투자
주식에서 배당을 받았을 때, 이를 다시 주식 구매에 쓰는 배당 재투자도 복리 구조입니다.
- A 기업에서 연 5% 배당을 받고, 그걸 매번 재투자하면
- 시간이 갈수록 배당금 + 수익이 함께 복리로 커지죠.
6. 복리의 두 얼굴 – 함정도 존재한다
복리는 자산을 불리는 데도 유용하지만, 부채와 소비에 적용되면 무섭고 위험한 구조가 될 수 있습니다.
❗ 신용카드 연체 이자
- 연체이자율이 18%라면?
- 100만 원을 1년 연체하면 약 118만 원
- 2년이면 약 139만 원
- 시간이 갈수록 갚아야 할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납니다.
❗ 대출 이자도 복리로 작동할 수 있다
일부 대출 상품은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이기 때문에 빚이 복리로 커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결론: 내가 복리를 적용하는 위치가 ‘저축하는 쪽’인지, ‘이자 내는 쪽’인지가 핵심입니다.
7. 복리를 일상에 적용하는 팁
- 적금보다는 투자
- 은행 예금 이자(1~2%)로는 복리 효과가 미미합니다. ETF, 연금펀드 등 저위험 투자도 고려해보세요.
- 소비도 복리로 본다
- 매달 10만 원씩 무의미한 소비를 한다면?
→ 30년 동안 약 1억 원의 기회를 날리는 것과 같습니다.
- 매달 10만 원씩 무의미한 소비를 한다면?
- 자동이체 설정
- 적금, 펀드, 연금 저축 등을 자동이체로 설정하면 꾸준한 투자 습관이 만들어지고, 복리 효과가 자연스럽게 작동합니다.
8. 복리,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았다
복리는 시간이 중요하지만, 그렇다고 40대, 50대에 시작하면 늦은 걸까요?
절대 아닙니다.
- 45세에 연 6% 수익으로 20년 투자해도,
- 매달 50만 원씩 투자하면 약 2억 3천만 원의 자산이 만들어집니다.
📌 늦었다고 생각될수록, 지금이 가장 빠른 시간입니다.
복리는 당신의 자산을 ‘일하게’ 만든다
복리는 단순한 숫자의 놀음이 아닙니다.
우리가 돈을 어떻게 관리하고, 시간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인생 전체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원리입니다.
작은 돈도, 짧은 시간도 복리 앞에서는 큰 결과로 돌아옵니다.
이 글을 읽은 지금이 바로, 복리를 당신 편으로 만드는 시작점이 되기를 바랍니다.
2025.04.21 - [부동산과 경제이야기] - 배당 수익률만 보면 안 되는 이유 – 고배당주의 함정
배당 수익률만 보면 안 되는 이유 – 고배당주의 함정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배당 수익률만 보면 안 되는 이유 – 고배당주의 함정주식 투자에서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자라면 한 번쯤은 '고배당주'에 관심을 가져본 적이 있을 겁니다.배
pman.tistory.com
2025.04.21 - [부동산과 경제이야기] - 절대 속지 마세요! 토지매매 사기의 5가지 전형적인 수법
절대 속지 마세요! 토지매매 사기의 5가지 전형적인 수법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절대 속지 마세요! 토지매매 사기의 5가지 전형적인 수법토지 투자는 수익률이 크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으로 여겨지며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입니다.
pman.tistory.com
2025.04.18 - [부동산과 경제이야기] - 직장인 재테크, 연금저축부터 부동산 소액 투자까지
직장인 재테크, 연금저축부터 부동산 소액 투자까지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 직장인 재테크, 연금저축부터 부동산 소액 투자까지"재테크는 돈 많은 사람들 이야기 아닌가요?"이런 생각, 아직도 하고 계신가요? 요즘은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반
pman.tistory.com
'부동산과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DP 상승 = 부자 나라? GDP를 제대로 읽는 방법 (0) | 2025.04.24 |
---|---|
청약 제도 바뀐다! 2030이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0) | 2025.04.23 |
배당 수익률만 보면 안 되는 이유 – 고배당주의 함정 (0) | 2025.04.21 |
절대 속지 마세요! 토지매매 사기의 5가지 전형적인 수법 (0) | 2025.04.21 |
직장인 재테크, 연금저축부터 부동산 소액 투자까지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