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 탈출! 5분 만에 이해하는 PER, PBR, ROE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주린이 탈출! 5분 만에 이해하는 PER, PBR, ROE
주식 투자할 때 꼭 나오는 용어들,
PER, PBR, ROE… 한 번쯤 들어봤지만, 솔직히 잘 모르겠고 그냥 넘어간 적 많으시죠?
하지만 이 세 가지는 마치 자동차의 계기판처럼,
회사의 가치를 판단할 때 꼭 봐야 하는 지표예요.
오늘은 주린이도 단 5분이면 이해할 수 있는 PER, PBR, ROE의 뜻과 활용법을
실제 예시와 함께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드릴게요!
✅ PER이란? (주가수익비율)
PER (Price Earnings Ratio)
: 내가 이 회사의 이익을 기준으로, 몇 배 가격에 주식을 사고 있는가?
- 공식: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예를 들어 볼게요.
🔍 삼성전자의 현재 주가가 75,000원이고,
1년 순이익 기준 **주당순이익(EPS)**가 5,000원이라면?
👉 PER = 75,000 ÷ 5,000 = 15
즉, 이 회사의 이익 대비 15배 가격에 주식을 사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 PER이 낮으면 좋은가요?
- 낮을수록 저평가, 싸게 살 수 있는 기업일 가능성 있음
- 하지만 낮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님 (성장성 낮거나, 실적 악화 우려 기업일 수 있음)
📌 예시로 비교해보기
- A기업: PER 8 (저평가지만 성장성 낮음)
- B기업: PER 40 (비싸지만 AI산업으로 고성장 중)
👉 PER은 무조건 낮은 게 좋은 게 아니라, **‘이익에 비해 적당한 가격인가’**를 따지는 지표예요.
✅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
PBR (Price Book-value Ratio)
: 회사의 순자산(장부가치)에 비해 주가가 얼마나 높은가?
- 공식:
PBR = 주가 ÷ 주당순자산(BPS)
예시로 쉽게 설명해볼게요.
🔍 어떤 회사의 순자산이 총 1조 원이고, 주식 수가 1억 주라면?
- 주당순자산(BPS) = 1조 ÷ 1억 = 10,000원
- 현재 주가가 20,000원이라면?
👉 PBR = 20,000 ÷ 10,000 = 2
즉, 자산 대비 2배 비싼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는 뜻이에요.
💡 PBR 해석 팁
- PBR 1 미만: 순자산보다 싸다 → 저평가로 볼 수 있음
- PBR 1 이상: 순자산보다 비싸다 → 시장이 가치를 인정 중
📌 예시로 비교해보기
- C기업: PBR 0.7 → 청산가치보다도 싼 상태 (투자 매력?)
- D기업: PBR 3.0 → 시장이 높은 미래 가치를 부여
👉 PBR은 회사의 자산가치 기준 ‘얼마나 비싼 가격에 거래되는지’를 보는 지표입니다.
✅ ROE란? (자기자본이익률)
ROE (Return On Equity)
: 주주가 투자한 돈(자기자본)으로 회사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냈는가?
- 공식: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100
예를 들어보면,
🔍 어떤 회사가 1년 동안 500억 원의 순이익을 냈고,
자기자본(자산 - 부채)이 5,000억 원이라면?
👉 ROE = 500 ÷ 5,000 × 100 = 10%
즉, 주주가 투자한 돈으로 10% 수익을 낸 것이죠.
💡 ROE 해석 팁
- 높을수록 좋다: 같은 자본으로 더 많은 이익을 내는 회사
- 10% 이상이면 양호, 15% 이상이면 우량기업으로 평가
📌 예시로 비교해보기
- E기업: ROE 5% → 돈은 벌지만 효율이 낮음
- F기업: ROE 18% → 자본 대비 수익성 매우 뛰어남
👉 ROE는 회사의 경영 효율성, 돈 버는 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예요.
✅ 이 세 가지, 어떻게 함께 보나요?
PER, PBR, ROE는 각각 다르지만, 함께 보면 더 정확한 판단이 가능합니다.
📊 예시로 통합 비교해보기
기업명 | PER | PBR | ROE | 해석 |
A사 | 10 | 0.8 | 5% | 저평가지만 성장성 낮음, 수익성 약함 |
B사 | 25 | 3.5 | 18% | 비싸지만 수익성·성장성 매우 뛰어남 |
C사 | 12 | 1.2 | 12% | 적정가 수준, 수익성 안정 |
👉 단순히 하나의 숫자로 판단하기보다는, 종합적으로 분석해서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 주린이를 위한 요약 정리
지표 | 뜻 | 숫자가낮을수록 좋은가? | 기준 |
PER | 주가 ÷ 순이익 | 낮을수록 저평가 가능성 | 10~20 적정 |
PBR | 주가 ÷ 자산가치 | 1 미만이면 저평가 가능성 | 1~2 일반 |
ROE | 순이익 ÷ 자기자본 | 높을수록 수익성 좋음 | 10% 이상 양호 |
💬 숫자에 강해지면 투자에 자신감이 생겨요!
처음엔 어렵게 느껴지는 PER, PBR, ROE도
한 번만 제대로 이해하면 투자 판단이 달라집니다.
이제는
📌 “이 회사 PER은 낮은데 ROE도 낮네?”
📌 “PBR이 0.7인데 재무는 괜찮은 걸까?”
하는 식으로 지표를 해석하고 내 기준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된 거예요!
투자는 '감'보다는 **'정보 + 기준'**이 중요합니다.
PER, PBR, ROE 세 가지 지표만 정확히 알아도
주식 실력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됩니다. 😊
2025.04.14 - [주식이야기] - 주식 고수들의 포트폴리오 구성 비법
주식 고수들의 포트폴리오 구성 비법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주식 고수들의 포트폴리오 구성 비법주식을 하다 보면 꼭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이 말은 바로 포트폴리오 구성의 중요성을 알
pman.tistory.com
2025.04.14 - [주식이야기] - 급등주 미리 포착하는 법 – 차트 보는 꿀팁 공개
급등주 미리 포착하는 법 – 차트 보는 꿀팁 공개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급등주 미리 포착하는 법 – 차트 보는 꿀팁 공개“아, 저 종목 어제 샀으면 오늘 수익 20%인데…”주식을 하다 보면 이런 아쉬움, 한두 번씩은 다들 겪어보셨을 겁
pman.tistory.com
2025.04.14 - [주식이야기] - 주식 초보도 이해하는 ETF vs ETN 차이점 정리
주식 초보도 이해하는 ETF vs ETN 차이점 정리
안녕하세요 피맨입니다. 주식 초보도 이해하는 ETF vs ETN 차이점 정리 – 실제 투자 사례로 쉽게 설명!주식을 처음 시작하면 ‘ETF’와 ‘ETN’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둘 다 **특정 지
pman.tistory.com